48조 세계 종자시장 ··· 한국 비중 고작 1.3%
상태바
48조 세계 종자시장 ··· 한국 비중 고작 1.3%
  • 이수경 기자
  • 승인 2020.10.07 09: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종자 수출입 규모 2,140억, 수출 규모는 수입액의 46.5% 수준
10년간 딸기, 장미, 국화, 난, 카네이션, 감귤 등 종자 수입으로 인한 해외 로열티 지불액만 1,463억 원
이원택 의원 “미래 먹거리 위해 k-seed 혁신클러스터 조속히 추진해야”

종자산업은 농업의 반도체로 불릴 만큼 세계가 주목하는 블루오션이다. 현재 세계시장 규모는 417억달러 수준으로 연관산업까지 780억달러 수준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세계시장에서 한국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5.5억달러 (현시세) 한화 6,400억 수준으로 로 세계 종자 시장에서의 비중은 고작 1.3%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이원택 의원(김제·부안)이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현재 세계 종자시장 규모는 2010년 307억달러에서 18년 417억달러 규모로 연평균 3.9%의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의 종자 수출입액 규모는 19년 기준 1억 8,400만달러(현시세) 한화 2,140억 수준이다. 이중 수출액은 680억으로 수입액 1,460억의 46.5% 수준으로 종자산업에 대한 경쟁력 제고가 시급한 상황이다.

현재 세계 각국은 종자 보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노르웨이의 경우 전 세계 종자 96만8000점(2018년)을 보관하는 현대판 노아의 방주 '글로벌 시드볼트'를 운영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2012년부터 진행된 골든씨드 프로젝트를 통해 4,91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글로벌 시장개척형 종자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나, 지난해 목표 수출 6,711만불에 못미치는 5,034만불의 수출 실적을 달성했다. 21년도 목표 수출 2억불 달성은 불가능해 보인다.  

종자전문 인력 양성도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국내에 종자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은 서울대학교 채소육종센터,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광대학교 농업식품융합대학 3곳뿐으로 종자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기관 확대가 절실한 상황이다.

한편, 2010년부터 올해까지 우리나라는 딸기, 장미, 국화, 난, 카네이션, 감귤, 블루베리 등 종자 수입에 따른 로열티로 총 1,463억원을 지불했다.

이원택 의원은“종자산업은 기술혁신을 기반한 미래 유망산업으로 성장 전망이 매우 우수해, 우리나라의 새로운 미래 먹거리 전략 중 하나로써, 종자산업을 위해 k-seed 혁신클러스터를 조속히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 의원은 “김제공항부지를 글로벌 수준의 종자 중심 수출단지로 조성해 종자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